박갑동
대한민국 언론인
북한의 정치인
일본의 사회운동가
1919년 3월 11일 출생
대한민국의 언론인이자 남로당계 북한의 정치인으로 현재는 일본 국적으로 귀화하여 거주 중이다.
탈북 후에는 일본에서 평생 반북운동에 매진했다. 한국에서는 1940~50년대 공산주의자들에 대한 증언으로 유명하다.
박갑동은 김일성과 북한 체제에는 일관되게 매우 비판적이다.
예를 들면 전쟁 시기 서울에서 김일성이 벌인 수탈 정책의 주요 증언자이다. 한편 남로당에 대해서는, 독재정권 시절 한국 정보기관이 남로당에 불리한 방향으로 그의 글을 조작하기도 했고, 그의 증언이 반공(반남로당)소설에 활용되기도 했으나, 사실 박갑동은 남북 모두에게서 버림받은 남로당원들이 겪은 비극을 안타까워한다.
1919년 3월 11일 경상남도 산청군 신등면 단계리 순천 박씨 지주 집안에서 태어났다.
1936년쯤 원래 다니던 중앙고보를 그만두고 도중에 일본의 다이세이중학교로 유학을 갔는데 남들과 달리 중학교 5년 졸업이 아닌 4년 수료상태였기 때문에 유일하게 4년 수료자를 받아주는 와세다제1고등학원에 진학했고, 그 이후 1941년 일본 와세다대학 정경학부 정치학과를 졸업했다.
일제 말기에는 학병 징집을 피해 지리산에 입산하여 활동하다 1945년 5월 조선독립동지회를 조직했다.
1945년 9월 조선공산당에 들어가 기관지 해방일보 정치부 기자가 되었다.
1946년 11월 합당으로 남조선로동당 기관지 노력인민 기자가 되었다. 1949년 10월에는 남로당 중앙위원이 되었고, 1950년 4월 정태식, 이주하, 김삼룡 등이 검거되자 남로당 지하총책이 되었다가 전쟁이 발발하자 월북하였다.
전쟁 발발을 전혀 예상하지 못했으며 소장파 국회의원들에게 남로당을 합법화시켜달라는 요구를 하려고 계획하던 중 전쟁이 터졌다고 한다. 1951년 3월부터 전쟁 중에는 문화선전성 유럽부장을 맡아 부수상 겸 외무상 박헌영과 함께 활동했다.
1953년 3월 6.25 전쟁 후 남로당 숙청 당시 체포되었다. 다른 남조선로동당 당원들과 함께 사형을 언도받았으나 1956년, 소련공산당 20차 당대회에서 흐루쇼프가 스탈린을 격하하면서 북측에서 탄압을 완화하여 석방되었다. 본인의 증언에 따르면 1956년 4월, 조선로동당 3차 당대회에서 당중앙위원회 후보위원 자리를 제안받았으나 거절하고 1957년 기적적으로 탈출하여 중국과 홍콩을 거쳐 일본으로 망명했다.
일본에서는 와세다대학 동문들의 도움으로 일본인 신분을 취득하고 일본인 여성과 결혼했다. 평범한 일본인으로 살다가 1964년 동경 올림픽을 계기로 노모가 남한에 살아있음을 알고 공개활동을 시작했다.
1973년과 74년에 걸쳐 박정희 정권의 요청으로 귀국하여 중앙일보에 '내가 아는 박헌영' 이라는 제목으로 회고록을 연재했다. 당시 박정희를 독대한 자리에서 직접 박헌영과 남로당 일대기 연재를 부탁받았고, 박정희는 해방 직후 읽었던 박헌영의 8월 테제가 자신의 세계관이 되었다고 말했다 한다.
북한은 박갑동을 매우 미워하여 각종 테러를 계속하며, 박갑동의 가족들은 정치범 수용소로 끌려갔다고 한다.
남로당과 초기 북한에 대해 여러가지 증언들을 남겼는데, 박헌영의 측근이었다보니 박헌영 관련해서는 편향된 증언을 하기도 했다. 대표적으로 박헌영이 6.25 전쟁에 반대하고 평화통일을 주장했다고 증언했는데 이는 오히려 6.25 전쟁을 주도했다는 학계의 정설과는 정반대인 내용이다. 김일성 가짜설도 신봉하여 박금철이 김일성이 가짜임을 간파했기 때문에 초기에 숙청되었다가 나중에 가짜 김일성 옹립에 동참하여 승진했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남조선노동당
남조선로동당(南朝鮮勞動黨, Workers' Party of South Korea)은 1946년 11월 23일 서울에서 조선공산당, 남조선신민당, 조선인민당의 합당으로 결성된 대한민국의 공산주의 정당이다.
#좌익 운동
남로당은 초기에 주로 합법적으로 남한에서의 사회주의·공산주의 운동을 계속하였고, 한편으로는 노동자, 농민들을 선동하여 각종 파업투쟁 등을 주도하였는데, 대표적으로 10월 1일 대구 사건을 들 수 있다.
그러다 이승만을 포함한 우익세력의 단독 정부 수립운동이 전개되던 무렵에 남로당 세력은 이승만의 단독 정부 수립운동 노선에 반발하여 급진적인 활동을 전개하게 되어 각종 테러나 게릴라 전, 노동자 총파업 등을 주도하면서 남한 정국을 흔들어 놓았다. 이런 배경 속에서 일어난 대표적인 사건으로는 제주 4.3사건, 여순 사건, 남부군 사건 등이 있다.
1948년 8월 남로당과 북로당은 연합중앙위원회를 설치하였고, 1949년 6월 합당하여 조선로동당이 되었다.
그러나 이 합당사실은 대외적으로 뿐만 아니라 일반당원들에게조차 숨겨진 비밀합당이었다. 그래서 1949년 6월 합당 후에도 대한민국에서 활동한 남로당원과 게릴라들을 선동하고 격려하는 문서에는 여전히 남로당이라는 명칭이 사용되었다.
그래서 이들의 저항은 북한이 개입되어 있지 않은 남쪽의 인민들의 자발적인 이승만 정부에 대한 저항으로 위장되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후에야 남로당 대신에 합당된 조선로동당이라는 이름을 공개적으로 사용하였다.
https://www.youtube.com/watch?v=HzZPlfTEK7c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인물] 3월 14일 목요일 (1) | 2024.03.15 |
---|---|
[오늘의 인물] 3월 13일 수요일 (0) | 2024.03.13 |
[오늘의 인물] 3월 10일 일요일 (0) | 2024.03.10 |
[오늘의 역사] 3월 9일 토요일 (0) | 2024.03.09 |
[오늘의 인물] 3월 7일 목요일 (2)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