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맒 발행된 최초 민간 신문
1896년 4월 7일 설립
1899년 12월 4일 해체
설립단체 : 독립협회
사장 필립제이슨/H.엠벌리
필진: 유길준, 윤치호, 이상재,주시경
1896년 4월 7일에 독립협회의 전신인 독립문 건립 추진 위원회에서 창간한 한국 최초의 민간 신문으로 순한글 3면, 영문 1면으로 구성됐다.
필립 제이슨이 중심이 된 독립협회의 기관지로 알고 있는 사람들이 많은데, 독립신문은 어디까지나 독립문 건립 추진 위원회와 독립협회에서 발행한 신문이고, 독립협회 기관지는 엄연히 월간 《대조선 독립 협회보》가 따로 있지만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
처음에는 주 3회 300부 발행했다. 1897년(건양 2년) 1월 5일부터 영문판을 4면짜리 The Independent로 분리했다. 1898년7월 1일 일간으로 바꾸었다.
독립협회가 해체당한 이후, 윤치호, 헨리 아펜젤러 등이 잠시 맡았으나 정부에서 인수한 뒤 폐간시켜버렸다.
《독립신문》이 나온 지 한참이나 지나서 1933년에 아래아가 폐지되었기 때문. 또한 한글에 띄어쓰기를 정착시킨 신문이기도 하다. 이전까지는 한글을 쓸 때 띄어쓰기를 하지 않았다.
일본 측 기록에 의하면 필립 제이슨은 대한제국에서 추방당했던 1898년(광무 2년)에 《독립신문》을 일본에 팔아넘기려는 생각도 있었다고 하며 쌍방간의 사정으로 성사되지는 않았다고 한다.
당시 이상재와 윤치호의 만류로 넘어갔다고 하는데 그들의 말로는 독립신문이 필립 제이슨 것이냐고 항변했다는 것이다.
애초에 《독립신문》 자체가 필립 제이슨 개인의 돈으로 설립한 신문이 아니기 때문에 필립 제이슨이 이걸 일본에 팔아도 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만민공동회 활동 등으로 인해 서재필은 추방령에 의해 미국으로 추방되었고 결국 윤치호가 운영을 이어받았다. 이 때문에 친일 논란이 일면서 독립신문 창간일을 기념해 만들어진 '신문의 날'을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있기도 했는데, 정부는 물론 관련학계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나왔다.
정진석 한국외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신문의 날은 서재필 개인이 아니라 독립신문 창간을 기념하는 날이며, 독립신문은 최초의 민간지로서 개화사상과 독립운동의 정신적 원류가 되고 있다"고 했으며, 친일인명사전 발간을 추진하는 등 과거사 규명에 앞장서온 민족문제연구소의 김민철 연구실장은 "서재필과 독립신문이 친일적 논조를 펼친 것은 러시아의 침략을 경계하는 분위기 속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본질을 꿰뚫지 못한 시대적 한계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덕분에 4월 7일은 한국에서 신문의 날이 되었다.
https://www.youtube.com/watch?v=GknoXlJbQDQ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인물) 4월 9일 화요일 (0) | 2024.04.09 |
---|---|
(오늘의 인물) 4월 8일 월요일 (0) | 2024.04.08 |
(오늘의 인물) 4월 5일 금요일 (0) | 2024.04.06 |
(오늘의 인물) 4월 4일 목요일 (1) | 2024.04.04 |
(오늘의 역사) 4월 3일 수요일 (1) | 2024.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