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최초의 서양식 병원인 광혜원이 왕립 병원으로 개원했다(연세대학교의 의과 대학의 전신)
고종의 명에 의하여 1885년 4월 10일 개원한 최초의 서양식 황립 병원으로 설립 당시에는 광혜원(廣惠院)이었다.
개원 13일만인 4월 23일 고종은 '대중(백성)을 구제한다'는 뜻의 제중원(濟衆院)이란 이름을 하사하여, '광혜원'의 이름이 '제중원'으로 바뀌게 된다. 역사 교과 상에서는 광혜원이란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갑신정변이 실패한 이후 국가에 압류된 홍영식의 집을 수리하여 부지로 사용했고, 당시 선교사 겸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용하여 병원을 운영하였다.
이후 알렌 말고도 다른 의사들(주로 미국 출신)을 고용하게 된다. 연세의료원 측에서는 알렌이 고종에게 건의하여 광혜원을 설립했다고 주장하며, 서울대학교병원에서는 고종이 능동적으로 설립한 기관이라는 입장을 펼친다.
서울특별시 종로구 재동 홍영식의 집 건물(現 헌법재판소 일대)에 들어선 제중원. 설립 당시의 명칭은 광혜원이었다.
1884년 갑신정변 때 고종과 명성황후의 인척이자 측근이었던 민영익은 개화파 자객에게 피습당해 13번이나 칼에 찔려 중태에 빠졌다.
이때 묄렌도르프가 미국인 선교사 의사였던 호러스 뉴턴 알렌을 고종에게 추천했고, 알렌으로부터 서양 의술로 치료받은 민영익은 목숨을 구하고 소생했다. 이에 감복한 고종은 알렌에게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비단 옷과 부채, 도자기 등을 선물하였는데, 이 때 알렌은 고종에게 서양식 병원 설립을 제의했다.
당시 근대적 의료기관은 1877년 부산의 제생의원을 시작으로 1883년 원산 생생의원, 인천 일본영 사관부속병원, 서울 일본관의원 등 여러 곳이 세워지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인 환자도 받았지만 명목상으론 조선 땅에 거주하는 일본인과 기타 외국인을 위한 목적으로 세워진 곳이었다.
그리하여 1885년 4월 10일 최초의 조선 정부가 세운 서양식 병원 '광혜원'이 설립되었다. 설립 12일 뒤 고종은 이 병원에 '제중원'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제중원은 '중생을 구제하는 집'이라는 뜻이다. 제중원은 조선 정부가 건물, 운영비, 병원 업무를 보조하는 주사 등의 하드웨어를,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가 의사, 간호사, 일부 운영비 등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일종의 합작 병원의 형태로 운영됐다. 1886년 3월 29일에는 16명의 학생으로 '제중원의학당'이 문을 열어 한국 최초의 서양의학 교육이 시작됐다.
이후 제중원을 운영하게 된 미국 북장로회 선교부 서울지부는 늘어나는 환자들을 감당할 수 없어 병원 확장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그러던 차에 1899년 언더우드를 비롯한 미 북장로회 서울지부 선교사들은 미국 클리블랜드의 부호 세브란스에게 한국의 의료 및 선교 상황을 전달하고 그를 설득하여 거액의 기부금을 받아왔다.
같은 해에 제중원 의학교가 설립되었고 에비슨이 초대 교장으로 취임했다. 세브란스의 기부금으로 숭례문 앞에 병원을 신축하여 1904년 완공된 건물로 확장 이전하며 병원 이름을 제중원에서 기부자의 이름을 딴 세브란스병원으로 바꾸었다.
'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인물) 4월 12일 금요일 (0) | 2024.04.12 |
---|---|
(오늘의 인물) 4월 11일 목요일 (0) | 2024.04.11 |
(오늘의 인물) 4월 9일 화요일 (0) | 2024.04.09 |
(오늘의 인물) 4월 8일 월요일 (0) | 2024.04.08 |
(오늘의 역사) 4월 7일 일요일 (1) | 2024.04.07 |